Tip

2025년 정보처리기사 시험 일정 및 준비 가이드(나랑 같이 하자...)

port_doit 2025. 1. 21. 00:01

2025년 정보처리기사 시험 일정 및 준비 가이드 

 

취업을 준비하는 많은 취준생에게 필수 자격증으로 꼽히는 정보처리기사!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정보처리기사 시험 일정과 함께 효과적인 공부 방법을 안내해 드립니다.

 

이번 포스팅은 저도 준비하는 입장으로 단순히 시험을 안내하는 것이 아닌 공부 방법도 가볍게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정보처리기사 응시를 하려면 조건이 필요

한데요. 조건을 아래와 같아요.

 

 

1. 정보처리기사 시험 응시 조건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보기 위해서는 학력이나 경력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관련 학과 4년제 이상 졸업(예정)
  2. 동종업계의 실무경력 4년 이상
  3. 2년제 졸업 후 경력 2년 또는 3년제 졸업 이후 경력 1년
  4. 학점은행제를 통한 106학점 이상 이수

자세한 사항은 한국산업인력공단(Q-Net)에서 확인하세요.

 

 

2. 2025년 정보처리기사 시험 일정

2025년 정보처리기사 시험은 1년에 3회 치러지는데요.

현재까지 확정된 2025년도 정보처리기사 시험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직 2회차 실기 일정들이 다 나오지는 않았는데요. 이 부분은 업데이트되는 대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사항: 상기 일정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공지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최신 일정은 Q-Net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3. 정보처리기사 시험 과목

정보처리기사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는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 개정(2018. 6. 22.)에 의해 국가직무능력 표준(NCS 에 맞춰 2020년부터 시험 과목이 대폭 개편되었는데요. 그래서 최신 기출이 제한적입니다. 

 

1)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은 객관식으로 출제 되며 4지 택 1형입니다. 과목은 총 5과목이며 과목당 20문제씩 총 100문제입니다. 

합격 기준은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이고 전 과목 평점이 60점 이상이면 필기 합격입니다. 

개편과정을 거치고 작년부터 정보처리기사 필기 경우 CBT를 통해 시험을 치게됩니다.

 

 

1-1) 필기시험 과목

  1. 소프트웨어 설계
  2. 소프트웨어 개발
  3. 데이터베이스 구축
  4.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5.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1-2)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TIP

개편 후를 기준으로 최신기출문제 반복학습 

프로그래밍 언어를 제외하고는 개편 이후의 기출문제집을 2번에서 3번 정도 돌리면서 오답노트를 작성하고 틀린 부분의 내용들을 제대로 숙지하시고 프로그래밍언어는 개편 전 내용을 포함해 개편 후 기출을 돌리신다면 아주 문난하게 시험에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75% 정도가 이전 기출에서 출제되는 것 같더라고요. 내용은 조금씩만 달라질 뿐이며 거의 똑같이 나오는 문제들이 35%~40% 정도 된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친 듯이 기출을 돌리면 필기 합격은 무난하게 하실 수 있을 거예요.

다만 실기가 문제인데요.

 

 

 

2) 정보처리기사 실기

 필기를 취득 후를 기준으로 2년 안에 취득을 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지만. 상당히 어렵습니다. 

시험은 필답형으로 2시간 30분 동안 이루어집니다. 

 

합격기준은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인 경우 합격하게 됩니다.  

 

재작년 2023년도 정보처리기사 합격률은 아래와 같은데요.

  • 2023년 1회 실기 합격률은 27.47%입니다
  • 2023년 3회 실기 합격률은 17.92%입니다
  • 2023년 4회 실기 합격률은 17.66%입니다

 

작년 2024년도 정보처리기사 합격률은 아래와 같은데요.

  • 2024년 1회 실기 합격률은 36.78%입니다
  • 2024년 3회 실기 합격률은 27.74%입니다
  • 2024년 4회 실기 합격률은 20.71%입니다

그래도 점점 합격률을 높게 가져가는 편인 것 같습니다. 여기서도 눈에 띄게 보이는 것은 1회 차 실기의 합격률이 다른 회차보다 높다는 것인데요. 이것도 잊지마시고 1회자에 지원이 가능하다면 꼭 1회차 시험을 보시길 바라요. 

 

 

 

2-1) 정보처리기사 실기 과목

실기시험은 종합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평가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실무 능력을 테스트하는데요.

총 12과목 중에 20문 제 만 출제되어서 공부량이 정말 많은데요.

 

과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붉은색 집중!) 

  1. 요구사항 확인
  2. 화면 설계
  3. SQL응용
  4. 데이터 입출력 구현
  5.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6. 통합 구현
  7. 서버프로그램 구현 
  8.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9.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10.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11.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12. 인터페이스 구현 

 

 

2-2)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TIP

 

시험공부는 기본 2달 적어도 1달 

사람에 따라 2달, 1달, 일주일만 공부하고 합격한 사람도 있지만 저처럼... 한 달만 빠짝 하다가 프로그램때문에 낙방을 하신 분도 많더라고요..?그리고 6번 중 5번을 다 쓰시고 올해가 마지막 시험을 앞두고 계신 분도 더러 있답니다. 때문에 한번 하실 때 조금 힘들더라도 시간을 들여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프로그래밍 먼저 혹은 병행학습 필수 

비전공자의 경우 프로그램에서 생각보다 많이 틀려 아슬하게 합격선에 걸친 사람들도 많습니다.(그거 나야 나...)

전공자시라면 그리고 C나 JAVA를 다루는 분이라면 일주일이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되며, 그 외의 분들은 자신 만만해도 최소 1달은 보시는 게 좋아 보입니다. 

 

비전공자들을 위한 팁을 드리자면 프로그램과 이론꼭 동시에 하시고 포커스는 프로그램 특히 C와 JAVA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집중하여 진행하시기를 바랍니다. 진짜 중요해요 파이썬은 많이 나와봤자 2문제..? 

 

 

인강을 볼 수 있으면 보세요. 추천은 흥달쌤!(광고 아님)

인강을 추천드리고요. 흥달쌤 인강 특히 추천이고요... 진짜 찐 강사입니다. 사랑해요. 흥달쌤

독학을 하시려거든.... 유튜브로 흥달쌤 강의 모두 들어주시고 시험 치기 전에 라이브 해주십니다.

그거 꼭 챙겨 보시길 바라요. 가끔 찍어주시는데 신 내린 것 같을 때가 많아요.

근데 저는 프로그램이 약해서.... 눈감아 흥달쌤... 

이 말인 즉, 프로그램이 약하면 아무리 잘해도 합격하기가 어렵다는 이야기겠죠?

그래서 제가 위에서부터 프로그램에 집중하라고 말씀드린 거랍니다. 

 

 

기출문제 분석

보통 1회자는 예외 일 수 있으나 보통은 전 회차에 나온 것들을 시험에서 잘 안 물어봐요.

만약에 스케줄링이 나왔다면 30% 확률로 안 나옵니다. 그리고 그 디자인패턴, 응집도, 결합도 같은 것들은 85% 이상 연달아 나오고요. 기출을 풀다 보면 80% 정도가 나오는 애들만 나옵니다. 필기처럼 실기는 기출에서 그대로 나오지는 않습니다만 기출 범위를 유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는 게 좋다고 생각이 들어요. 그래야 올해 뭐가 나올지 보이거든요. 그거라도 추측이 돼야지 12과목을 어떻게... 선택과 집중이 바로.... 이런 게 아닐까...

 

 

 

 

이렇게 하시면 웬만하면 붙을 겁니다. ㅎ

합격률이 다소 낮지만 철저한 준비와 기출 분석으로 충분히 도전할 수 있습니다. 올해는 저와 함께 정보처리기사 꼭 함께 따보도록 하시죠.

 

정보처리기사는 IT 분야에서 필수적인 자격증입니다. 계획적으로 준비하고 기출문제를 충분히 연습하면 합격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준비를 시작해 목표를 이루시기 바랍니다!

 

 

 

(나도 나도!!)